컴포넌트를 만들려면 몇가지 Meta Data를 알아야 한다. 내가 아는 범위내의 Meta Data는 어플리케이션이 컴파일이 될때 컴파일러에게 뭔가 지시한다고 알고 있다. Flex의 Button 컴포넌트를 사용할때에 많은 Event 가 설정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. 모두 메타태그로 소스내에 정의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. 이 글은 앞으로 많은 MetaData들을 다룰 예정이며, 아직 나 자신도 모르지만 MetaData 를 만드는 법도 알아보도록 하겠다. DefaultProperty 컴포넌트를 사용시에 default로 사용할 Property를 설정하는 것이다. 이 MetaData 는 지돌스타 블로그에 아주 잘 정리가 되어 있다. http://blog.jidolstar.com/377 이 MetaData 를 잘 ..
DB2는 테이블 수정을 하면 테이블이 Lock 이 걸리게 되어 아무것도 못한다;; 심지어 조회쿼리도 안된다.. 이게 설정문제인지, 환경문제인지 버전문제인지는 잘 모르겠다;;; (다른곳에서는 모르겠습니다;;) 하지만 만약에 "alter" 키워드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수정한후 Lock가 걸리면 아래와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. REORG TABLE [수정한 테이블명 ] 수정한 테이블을 "REORG TABLE " 명령어로 쳐주면 아주 잘된다 ㅎㅎ
개발하다 갑자기 이상한 궁금증이 생겨서 이렇게 글을 정리한다. static 이라는 키워드는 다들 잘 알꺼라고 본다. 내 짧은 지식으론 static은 static메모리영역에 올려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모든 클래스가 하나의 메모리 영역을 접근하는걸 뜻한다. 그러므로 어떤면에서는 메모리 효율성을 높일수 있다. 물론 남발하면 당연히 안된다;;;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될때까지 메모리에서 사라지지 않으니까 (맞나;;;) 그런데 소스를 보던중 갑자기 눈에 띈 private static final 내 짧은 지식의 넓이를 넘어가는 private static..... 아니 도대체!.. 다른 클래스랑 공유를 하지도 않을꺼면서 왜 혼자 호사스럽게 static을 쓰는지 이해가 되질 않아서 한참을 생각해 보았다; 근데 생각해보니 간..
개발을 할때 디버깅이 안되면 정말 힘든경우가 있습니다. 플렉스쪽 디버깅은 아주 잘되지만, JAVA 디버깅을 하기 위해서는 jUnit 을 이용하여 단위테스를 이용하거나 remote 디버깅을 해야 합니다. 이 글에서는 jeus5.0 와 이클립스의 설정을 통해 remote 디버깅을 하는 법을 정리하고 있습니다. 버전정보 jeus 5.0 ecilpse 유로파 1. jeus admin 으로 들어가서 Commaind option 에 항목을 작성합니다. -Xms256m -Xmx512m -Xdebug -Xnoagent -Xrunjdwp:transport=dt_socket,address=8888,server=y,suspend=n자세한 내용은 잘모르겠지만 디버깅에 필요한 포트를 열어주는것 같습니다;;; 정확한 내용은 잘 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